안녕하세요. 글로벌 서버 대전! 국경을 뛰어넘는 삼국지Global GM유비입니다.
이번 가이드에서는 가장중요한 성지시스템에 대해 안내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성지는 일종의 수련 시스템이라고 볼 수 있으며 주요 자원들을 소모하는 승급을 통해 전체적인 성장이 기틀이 되는 콘텐츠입니다.
크게 내무, 군무, 전략의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능 및 효과는 아래와 같습니다.
1. 내무 - 의정청
승급 시 성의 내구도 및 통재치를 상승시켜 줍니다.
무장의 희귀도가 높을수록 부대를 거느리기 위한 통재치가 높아지기 때문에 의정청 승급을 통한 통재치 상승은 필수라 할 수 있습니다.
2. 내무 - 군량, 목재, 철광, 석재
각 자원 건물은 레벨업 시 시간당 획득할 수 있는 자원의 수량이 상승합니다.
3. 내무 - 창고
창고는 레벨업 시 최대 자원 보관량을 상승시켜 줍니다.
의정청 레벨을 상승시키기 위해서는 많은자원이 필요하며 많은 자원을 보유하기 위해서는 창고의 레벨업이 선행되어야 합니다.
4. 내무 - 마을, 무역, 훈련, 사직단
- 마을 : 동전의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무역 : 무역 콘텐츠 이용 중 자원교환 비율을 상승시킵니다.
- 훈련 : 부대 훈련 시 무장이 획득하는 경험치량을 상승시킵니다.
- 사직단 : 최대 명성을 상승시킵니다.
5. 군무 - 병영, 모병소, 장성단
- 병영 : 배치 가능한 부대의 수량이 증가합니다.
- 모병소 : 최대 예비군의 수가 상승하고 징병 시간이 감소합니다.
- 장성단 : 배치 가능한 우군 부대의 수량이 증가합니다.
6. 군무 - 병력, 통재
- 병력 : 무장이 인솔할 수 있는 병력의 수량이 증가합니다.
- 통재 : 최대 통재치가 상승합니다.
7. 군무 - 강화, 봉선대
- 병법 강화 : 무장의 무력, 지력이 상승하고 받는 피해가 감소한다.
- 진영 강화 : 각 진영의 무장 속성을 상승시킨다.
- 병과 강화 : 각 병과의 속성을 상승시킨다.
- 봉선대 : 무장의 최대 체력을 상승시킨다.
8. 전략 - 전략, 군기, 군영
- 전략 : 군영, 거마, 화살탑의 최대 레벨을 상승시킵니다.
- 군기 : 건설 가능한 군기의 수를 증가시킵니다.
- 군영 : 건설 가능한 군영의 수를 증가시킵니다.
9. 전략 - 성벽, 방어시설, 기문둔갑, 군악부
- 성벽 : 본 성의 내구도를 상승시킵니다.
- 방어시설 : 수비군의 병력과 강도를 증가시킵니다.
- 기문둔갑 : 성 수비군의 피해를 증가시키고, 받는 피해를 감소시킵니다.
- 군악부 : 부대의 최대 사기가 증가합니다.
10. 징병
부대가 자원지 및 토지점령, 공성 등 전투를 진행하면 병력 손실이 발생하며
예비군을 통해 병력을 보충할 수 있습니다.
예비군은 군량, 목재, 철광을 소모하여 징집할 수 있으며 징병에는 최대치가 존재하니,
지속적으로 보충하여 최대치를 유지하는 것이 유리합니다.
11. 임명
각 콘텐츠들이 오픈됨에 따라 내정 무장을 임명하여 추가효과를 얻을수있습니다.
- 주정관 : 전체 자원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목재관 : 목재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제련관 : 철광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채석관 : 석재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군량관 : 군량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세수관 : 세수 생산량을 상승시킵니다.
- 무역사 : 무역 거래 비율을 상승시킵니다.
- 순찰사 : 순찰 고급 보상이 증가합니다.
- 조련사 : 조련 고급 확률을 상승시킵니다.
- 감정사 : 감정 고급 확률을 상승시킵니다.
- 독조사 : 고급장비 제련확률을 상승시킵니다.
※ 내정 영웅의 무장 스킬은 특정 직위에서 특수 효과가 발휘됩니다.
예시) '조비'의 '제왕의 위엄'은 무장을 '주정관'으로 임명 시 전체 자원 생산량이 상승합니다.
12. 기타 기능
- 순찰 : 순찰을 통해 장비 제련, 무장 승급재료와 보물 획득이 가능하며 일정 확률로 5성 무장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
- 감정 : 순찰로 획득한 미감정 아이템을 '감보각'에 투입 후 감정하면 일정 시간 후 감정 보상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.
- 제련 : 제작 재료를 사용하여 무기와 갑옷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- 외양간 : 조련으로 탈것을 획득하여 무장 강화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.
감사합니다.
※ 현재 내용은 테스트 버전을 기준으로 작성되었으며, 추후 일부 내용이 변경 및 수정될 수 있습니다.